주간 회고
이번주 배운 것
- 개발 일정 짤 때, 내가 기능 구현 하는 것 이외에 다른 개발자분들과 맞춰보는 시간 + 내가 생각못한 이슈가 발생할 경우도 생각은 해야 한다.
- 단순 CRUD 는 금방구현 하지만, 다른 개발자분들이 테스트 하시다가 추가 수정 요청이 들어올 수 있고 생각지 못한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해 수정하는 시간이 더 필요했음
- 예를 들어, 이번주에는 자동화 테스트에서 사용하는 테스트 DB에서 문제가 있었음.
DB를 만들어두고, 만들어져 있으면 다시 만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도록(IF EXISTS..) DDL을 구성
테이블이 처음 생성되었을 때와 존재하고 있을 때 다르게 작동하는 쿼리로 인해
(eg.MSSQL
-DBCC CHECKIDENT
) 테스트가 계속 실패하여 예상 작업시간보다 더 소요됨
- 예를 들어, 이번주에는 자동화 테스트에서 사용하는 테스트 DB에서 문제가 있었음.
- 단순 CRUD 는 금방구현 하지만, 다른 개발자분들이 테스트 하시다가 추가 수정 요청이 들어올 수 있고 생각지 못한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해 수정하는 시간이 더 필요했음
- 개발환경은 용도별로 나누어 놓는것이 좋다 ⇒ 나누지 않았을 때, 다른 사람이 작업내용을 배포하면 해당 작업을 내가 수정하지 않는 한 그 다음 단계의 작업자가 작업을 이어서 할 수 가 없음.. 비효율 극치
- 나와 게임서버 개발자 분이 작업하는 환경
- 게임서버 개발자 분과 내가 작업한 내용을 클라이언트 SDK 작업을 담당하시는 분이 테스트 할 수 있는 환경
- 최종 클라 개발자 분들이 테스트 해볼 수 있는 환경
기술적 습득
- MSSQL 에서 TRUNCATE는 ForeignKey로 참조되고 있는 테이블에 대해 사용 하지 못한다. 다른 테이블을 Foreign key로 참조하고 있는 테이블에는 TRUNCATE 사용이 가능하지만.
- MySQL에서는
SET FOREIGN_KEY_CHECKS = 0
을 하고 TRUNCATE 하면 사용 가능함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